안녕하세요. 꿀돈2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기초 용어인 전세,월세,매매 뜻과 차이에 대해서 이야기 해드리려고 합니다.
부동산 매물을 볼때 필수적으로 나오는 단어! 아직 뜻이나 차이가 헷갈리신다면?
오늘 포스팅 참고하셔서 개념 정리 확실하게 하고 가시길 바랍니다.
1. 전세 뜻?
먼저 전세에 대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전세란 무엇일까요?
전세란 전세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지급하고,
계약서에 적힌 일정 기간동안 집에 거주 하는것을 의미합니다.
계약기간이 만료되면 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전세금을 그대로 돌려줘야합니다.
전세의 경우에는 전세 보증금을 한번 지급하고 난 뒤, 추가 금전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다만 전세 보증금은 매매가의 5~60%만큼의 높은 금액을 보증금으로 묶어둬야기 때문에
'목돈'이 있다면 > 전세
'목돈'이 없다면 > 월세
하지만 최근 전세사기와 관련된 이슈가 많아서
전세 보다는 월세를 더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 월세 뜻?
월세란 무엇일까요?
월세란 '월'단위로 집세를 지급한다는 뜻입니다.
임차인(돈을 지불하고 집에 실제 거주하는 사람)이 임대인(돈을 받고 집을 일정 기간 동안 대여해주는 사람)에게
월에 한번씩 '집세'를 지불하고 해당 집에 거주하는 계약이 월세입니다.
월세는 보통 보증금 (월세를 내지 못할 경우를 대비해 묶어두는 목돈) 일부와 월세 지급을 하고,
보증금이 없는 무보증 월세로도 나뉩니다.
만약 임차인이 월세를 제때 내지 못할 경우
임대인은 임차인의 보증금에서 금액을 차감할 수 있습니다.
임대인은 임차인과 계약이 끝났을 시에는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돌려줘야 합니다.
3. 매매 뜻?
매매란 매도인과 매수인이 계약을 통해서 해당 집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하는것을 의미합니다.
매매를 하기 위해 큰돈이 필요하고, 매매 하는 과정에서 '세금, 복비 등' 비용 또한 발생하게 됩니다.
4. 전세 월세 매매 차이점?
전세 > 목돈이 필요 / 추가적인 경제적 부담이 없음 / 목돈을 묶어둬야하고, 전세사기 등 보증금 반환에 대한 불안감이 있음.
월세 > 목돈이 필요하지 않음 / 달마다 돈이 나가서 경제적 부담이 있음 / 소액의 보증금을 맡기는 구조 불안감이 다소 덜함.
매매 > 소유권 이전 / 매매 시 발생하는 대출 부담 / 매매 시기에 따라 손해를 볼 수도 이득을 볼 수도 있음. 예측 불가
/
오늘 포스팅에서는 월세,전세,매매에 대한 뜻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오늘 포스팅 도움이 되셨다면 덧글&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오늘 포스팅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고 참조 차이? 영어로? 업무에 맞는 용어는 무엇일까? (0) | 2025.01.31 |
---|---|
직장인 근로시간 휴게시간 대기시간 포함 여부 차이점? 어떻게 될까? (0) | 2025.01.31 |
연봉 실수령액 1억 직장인 월급 현실? (0) | 2025.01.21 |
2025년 군인 월급 인상 계산 확정 다 모으면? 병장 200만원? (1) | 2025.01.21 |
전세 계약 묵시적갱신 자동연장 2년? 4년? 해지 3개월 정리~ (0) | 2025.01.21 |